우생학, 유전자 정치의 역사, 김호연, 유전자에 구속된 인간, 환원주의, 물화, 천

서구 역사 속에서 과학과 이념 그리고 담론과 실천이 혼재되며 선택과 배제의 원리로 작용했던 우생학은 20세기 역사에 지우기 힘든 흔적을 남겼다. 그렇다면 선택과 배재의 원리로서의 우생학의 본질적 성격은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역사적 실천을 보여주었으며, 그것이 갖는 21세기적 함의는 과연 무엇일우생학, 유전자 정치의 역사, 김호연, 유전자에 구속된 인간, 환원주의, 물화, 천재와 바보, 이분법적인 사유, 생물학주기, 생명정치, 유전자정치, 과학주의, 사회단원주의, 진화론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