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탐(探)] - 인륜지대사, 혼례이야기 / YTN DMB

인륜지대사, 중요한 의례로 불리던 혼인. 혼(婚)은 남자가 저녁에 여자를 맞이하러 간다는 뜻이며 인(姻)은 여자가 중매쟁이를 통해 남자를 만나 시집을 보낸다는 의미로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일이다. 가장 오래된 제도 중 하나 혼례. 혼례는 고대에서부터 국가에서 장려하는 제도였으며 당시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던 인력으로 노동력과 결합해 가족 구성원을 늘리고, 자손을 번성하는 등 노동력을 확보하는 방법이었다. 이후 신라시대에 이르러 혼례는 제도적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비교적 자유로웠던 혼인 풍습은 고려 말, 주자학의 전래로 큰 변화를 맞게 된다. 주자가례에 입각한 혼례 절차가 도입된 것이다. 엄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