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만난 보물의 보고 청도 운문사

경상북도 청도군 호거산 아래에 위치한 운문사는 560년(신라 진흥왕21)에 창건되었으며, 608년 원광국사가 중창하였다.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고려 937년(태조 20) 중국 당나라에서 법을 전수받고 돌아온 보양국사가 까치떼의 도움으로 이 절을 짓고 작갑사(鵲岬寺)라 했으나, 943년 삼국을 통일한 태조 왕건이 보양국사가 절을 세웠다는 말을 듣고 많은 전답과 함께 ’운문선사’(雲門禪寺)라고 사액한 뒤부터 운문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105년(숙종 10)에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중창한 이후로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으며, 일연이 운문사의 주지로 있던 시절 ‘삼국유사’를 집필하기 시작했다고 하며, 조선시대인 1690년(숙종 16) 설송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중건하여 어느 정도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 이 절에는 조계종 운문승가대학이 설치되어 많은 비구니들의 교육과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경내에는 우리나라 사찰 중 가장 규모가 큰 만세루를 비롯하여 대웅보전(보물 제835호), 동ㆍ서 삼층석탑 (보물 제678호) 등 다양한 문화재가 있다.
Back to Top